[KJtimes=김승훈 기자]‘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여파가 공유 업계에도 미치고 있다. ‘중국인=바이러스’란 인식이 번지면서 아시아계 인종차별이 확대되는 가운데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신종코로나 여파로 공유경제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3일 손흥민(토트넘) 선수는 맨체스터 시티와 경기에서 승리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잔기침을 하자 신종코로나와 연관된 조롱 섞인 글들이 SNS에 다수 게재됐다. 지난 1월31일에는 독일 베를린 북부 모아비트 지역에서 지하철역으로 가던 20대 중국 여성이 여성 2명으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프랑스에서는 아시아계인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지 않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고 중국인 이민자가 많은 호주에서는 공포심을 높이는 거짓 정보들이 번지는 중이다. ◆‘아시아계 인종 차별 확산에 승차 거부에 소비자 심리 위축 현상까지 문제는 이 같은 인종차별이 차량공유 시장에서 아시아계 승객 기피현상으로 퍼진다는 점이다. 최근 CNBC에 따르면 우버와 리프트 등 공유 운전자들이 아시아계 승객들을 차별하고 있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아시아계 승객 호출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페이스북이 지난해 4분기 시장 전망치보다 높은 실적을 내놨지만 시장 반응이 냉담하다. 실적발표 직후 주가가 7%나 추락했기 때문이다. 각종 악재에 휘말리면서 비용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것으로 연내 신사업을 통한 성과가 가시화되면 회복될 것이란 전망도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210억8000만 달러, 주당순이익은 8% 상승한 2.56달러를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전망치인 208억9000만 달러, 2.53달러를 웃도는 수치였다. 또 순이익은 73억 달러, 영업이익은 88만6000억 달러(13.3% 상승), 월간 활성 이용자수도 전년보다 8% 증가한 25억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부문별로는 광고 부문 매출액이 207억 달러로 24.6% 증가하면서 호조를 보였다. 전체 플랫폼(인스타그램, 왓 츠앱, 메신저 포함)의 ARPU(사용자당 평균 매출)는 8.5달러로 15.6% 상승했다. 전체 매출에서 98%를 차지하는 광고 사업 매출은 제품믹스 변화와 아시아 및 기타 지역 매출 비중 확대로 단가가 5% 하락했지만 전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4분기 시장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실적을 토해 냈다. 클라우드 사업 덕분이다. 클라우드 사업부문이 시장 기대치를 넘어서는 성적표를 내놓으면서 전반적인 호실적을 견인했다. 이 분야에 대한 외형 확대가 지속되면서 향후 MS 실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MS는 지난해 4분기(자체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69억 달러,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5.4% 늘어난 139억 달러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36% 상승한 116억 달러, 주당순이익은 1.51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실적 전망치 평균) 매출액 357억 달러, 주당순이익 1.32달러를 각각 3.5%, 14.4% 웃도는 수치다. 특히 MS는 전사업부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애플의 퍼스널 컴퓨팅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7% 늘은 132억 달러,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PBP)가 17.1% 상승한 118억 달러, 지능형 클라우드는 26.6% 증가한 119억 달러로 집계됐다. ◆MS 효자 사업으로 떠오른 ‘클라우드’, 든든한 성장ing MS의 실적을 견인한 것은 클라우드 부문이었다. 지능형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지난해 4분기 ‘깜짝 실적’을 거두면서 예상치를 상회하는 ‘A+급 성적표’를 내놨다. 1일 무료배송서비스 확대와 ‘홀리데이 시즌’ 매출 호조 영향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한동안 침체기를 걷던 실적에 반등효과를 일으켰단 평가다.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 순매출 874억 달러, 영업이익 39억 달러, 당기순이익은 3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2%, 8% 증가한 수치다. 주당순이익은 6.47달러에 달했다. 지역별 실적은 북미부문에서 순매출이 전년 동기 보다 22% 상승한 537억 달러를 거뒀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16% 줄어든 19억 달러를 기록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출 성장률은 각각 15%, -1%였고 식료품 배달 주문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해외부문은 순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238억 달러, 영업적자 6억 달러로 적자를 지속했다. 아울러 AWS(Amazon Web Service) 부문은 매출 99억 달러, 영업이익 26억 달러로 각각 전년보다 34%, 19% 늘었다. 이지영 NH투자
[KJtimes=김승훈 기자]최근 테이크어웨이닷컴(Takeaway.com)의 ‘저스트잇(Just It)’ 합병소식은 배달앱 업계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유럽 내 최대 배달앱 공룡 탄생의 신호탄인 동시에 글로벌 배달앱 업계 6위 기업이 3위 기업을 집어삼킨 이슈였기 때문이다. 글로벌 배달앱 시장에서 국가간 경계 없이 업종별 합종연횡이 성횡하는 가운데 유럽에서 세력을 키워가는 3대 강자 마지막 순서 테이크어웨이닷컴에 대해 살펴봤다. ◆네덜란드 대학 기숙사에서 시작된 ‘스무살’ 테이크어웨이닷컴 지난 2000년 설립된 테이크어웨이닷컴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창업자이자 이 회사 CEO인 짓체 그로언(Jitse Groen,1978년)은 지난 네덜란드 트벤테대학에서 Business & IT를 전공하던 당시 그는 웹개발 사업체를 시작했다. 이후 지난 2000년, 대학 기숙사에서 온라인 음식 배달 서비스 테이크어웨이닷컴을 창업했다. 그리고 지난 2016년 공모가 3억6800달러로 암스테르담 증시에도 상장시켰다. 테이크어웨이닷컴은 현재 네덜란드, 독일, 벨기에, 이스라엘 등 12개국 38개 도시에 온라인 음식 주문 및 배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201
[KJtimes=김승훈 기자]애플이 지난해 4분기 삼성을 제치고 1위 탈환에 성공했다. 아이폰과 웨어러블 등 판매 증대에 힘입어 사상 최대 매출액과 주당순이익을 달성한 것이다. 아이폰 등 기기뿐 아니라 웨어러블과 서비스 부분이 매출 성장을 견인하면서 전반적인 실적 호조를 기록했다. 다만 아이폰 최대 시장인 중국시장에서 ‘우한 폐렴’이 확산, 1분기 성장세는 ‘차이나리스크’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애플은 최근 지난해 4분기(자체 기준 1분기, 2019년 10월~12월) 매출액과 주당순이익이 각각 918억 달러, 4.99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 19%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측치 884억 달러(매출), 4.56달러(주당순이익)보다 각각 4%, 10% 웃도는 수치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99억7000만 달러에서 222억4000만 달러로 11.4% 증가했다. ◆선진국·신흥국 아이폰 11시리즈 인기에 매출 ‘쑥쑥’, 서비스 매출도 성장 견인 지난 1976년 스티브 잡스, 스티브 워즈니악, 론 웨인이 창업한 애플은 맥북,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 전자제품을 소프트웨어, 서비스, 네트워크 솔루션과 함께 디자인 및 제조해 판매하고
[KJtimes=김승훈 기자]글로벌 배달앱 시장에 투자하는 큰손으로 ‘비전펀드’를 빼놓을 수 없다. 비전펀드는 ‘투자업계 미다스의 손’인 손정의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투자사로 이미 유명하다. 위워크, 우버 등 스타트업에 투자해 글로벌 벤처 투자업계 큰손으로 떠올랐다. 비전펀드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공유플랫폼 등 다양한 미래기술 분야에 투자를 하고 있지만 특히 전 세계 배달앱 시장에 손을 뻗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비전펀드가 투자하는 분야 중 승차공유가 가장 높아서다. 비전펀드가 이 시장을 점령하는 현황은 어떤 상태일까. ◆‘투자업계 미다스의 손’ 손정의가 이끄는 비전펀드, 스타트업 투자 진행 중 비전펀드는 소프트뱅크가 지난 2016년 설립한 투자사로 영국 런던에 본사가 위치했다. 미래기술에 투자하는 100조원 규모의 다국적 테크 펀드다. 최대 출자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와 소프트뱅크, 애플, 퀄컴, 폭스콘, 샤프, 무바달라(UAE) 등이 있다. 승차공유 분야에 펀드의 1/3가량을 투자하고 있고 이어 이커머스, loT/보안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비전펀드의 모든 투자 내역을 비공개지만 주요 투자사로는 ▲최대 차량공유 서비스 기업 우버(Uber)
[KJtimes=김승훈 기자]‘아프리카의 소프트뱅크’라고 칭해지는 내스퍼스. 내스퍼스의 점령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사실상 아프리카에 주둔지를 둔 내스퍼스란 이름은 생소하다. 하지만 최근 국내 1위 배달앱 배달의 민족을 인수한 DH(딜리버리히어로) 최대주주란 것이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지는 중이다. 지난해 말 시가총액은 713억 달러. ‘아프리카계 소프트뱅크’라고 불리는 내스퍼스는 어떻게 글로벌 배달앱업계 큰손으로 성장하게 됐을까. 내스퍼스그룹의 진화 과정을 살펴봤다. ◆배달앱 시장 큰손으로 둔갑한 ‘백인편향 신문사’의 진화 지난 1915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신문사로 시작한 내스퍼스는 백인 편향 신문사로 출발했다. 이후 서적 출판과 방송까지 진출 미디어그룹 회사로 진화했다. 하지만 내스퍼스의 100년 역사 속 진정한 창업의 역사는 20여년이란 게 시장 평가다. 단순 미디어회사에서 투자사로 변화를 시작한 것이 1997년부터였기 때문이다. 쿠스 베커(Koos Bekker) 현 내스퍼스 이사회 의장은 내스퍼스 인수와 함께 CEO로 자리하면서 인터넷과 뉴미디어 관련 기업들을 투자, 현재의 글로벌 투자·미디어·온라인 쇼핑 회사로 진화시켜왔다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 페이스북이 혹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새해 벽두부터 각종 악재성 복병 출현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복잡한 부정 이슈에 발목 잡힌 채 ‘사면초가’에 처한 형국이다. 최근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지난해 로비 자금으로 1670만 달러(약 195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수치로 IT 공룡 ‘빅5’ 중 최대 규모였다. 페이스북에 이어 로비 자금으로 높은 금액을 지출한 IT기업은 아마존, 구글, MS, 애플 등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페이스북은 지출 규모 증가율(32%)에서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아마존 14%, 구글 -44%, MS 7.4%, 애플 10% 등을 지난해 로비에 2018년보다 더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페이스북의 지난해 로비자금 사용이 많았던 데는 4분기 암호화와 공정 선거, 콘텐츠 규정 등의 사안과 관련한 정부 협력관계 때문인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IT 기업 규제와 관련해 의원들을 사적으로 만난 바 있다. ◆“시주석은 ‘미스터 쉿홀’?”…부정 이슈 속출하는 데 초보적인 대형 실수까지 ‘어쩌나’
[KJtimes=김승훈 기자]전세계 모바일 배달앱들의 합종연횡이 진행되고 있다. 국가를 넘어선 인수합병으로 세계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을 향한 치열한 경쟁이 시작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최근 네덜란드 온라인 음식주문 회사 ‘테이크어웨이닷컴’은 암스테르담에서 임시 주주 총회를 열고 주주들이 영국 매달 플랫폼 '저스트 잇(Just Eat)' 합병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테이크어웨이닷컴은 77억 달러(약 8조9374억원)에 제스트잇을 인수했다. 테이크어웨이닷컴 측은 “양사의 완전한 합병이 세계 최고의 음식 배달 회사 중 하나를 만들어 주주들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 내 배달앱 시장 1위 사업자로 우뚝 선 ‘테이크어웨이닷컴’ 지난 2000년에 설립된 테이크어웨이닷컴은 불가리아 ‘BG메뉴(BGmenu)’와 루마니아 ‘올리비에라(Oliviera)’ 등 총 19개 회사를 인수하며 몸집을 불려왔다. 이어 테이크어웨이닷컴은 이번 합병을 성사시키며 약 90억 파운드(약13조원) 규모 회사로 거듭났다. 이는 유럽 음식배달기업 ‘딜리버루( Deliveroo)’와 미국 우버의 ‘우버잇츠(Uber Eats)’ 보다 큰 규모다. 뿐만이 아니다. 테이크어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달성에 성공했다. 이는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네 번째로 회사 설립 22년 만에 ‘꿈의 시총’을 돌파하는 성과를 이루게 됐다. 알파벳의 시총 1조 달러는 리더십 변화와 AI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데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란 게 시장의 시선이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알파벳은 시가총액 1조10억 달러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 16일(현지 시간) 기준 뉴욕증시에서 12.50달러(0.87%) 상승한 1451.7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장중 한때 알파벳 시총은 1조4000억 달러에 올라서기도 했다. 미국 증시에서 시총이 1조 달러를 넘은 것은 애플(2018년 8월), 아마존(2018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2019년 4월) 뿐이었다. ◆21년 만에 경영권 내놓은 두 창업자…리더십 변화의 신호탄 알파벳은 지난 1998년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집 차고에서 설립한 회사다. 스탠포드 대학원에서 만난 두 창업자는 웹페이지에 순위를 매기는 서비스 ‘백럽(Backrub)’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구글’의 시초를 만들었다. 이후 구글은 2006년 유튜브를
[KJtimes=김승훈 기자]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엑스노(Xnor)’를 인수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최근 몇 년 새 애플은 다양한 AI스타트업을 품에 안으며 인공지능 역량을 강화하고 있어서다. 향후 AI를 신사업으로 본격적인 핵심 역량 강화에 나선 것 아니냔 전망이 나온다. 최근 CNBC에 따르면 애플은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엑스노를 약 2억 달러(약 2300억원)에 사들였다. 엑스노는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립자 폴 앨런의 연구소에서 탄생한 스타트업으로 미국 시애틀에 본부를 뒀고 54명 직원들이 종사하는 중이다. 엑스노는 컴퓨팅(연산) 능력이 제한된 작은 기기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특화된 기술에 집중해왔다. 엑스노 기술은 기기 자체에서 소프트웨어가 구동돼 아마존과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엑플은 엑스노 인수 배경을 공개하지 않았다. 애플 측은 이번 인수에 대해 “지속적인 소규모 IT 기업을 인수하고 있지만 그 배경이나 계획에 대해선 언급한 바 없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포트폴리오 강화하는 애플, 2019년에만 40여개 인수 하지만 시장에서는 애플
[KJtimes=김승훈 기자]#. 가구를 매장에서 구입해 직접 조립함으로써 가격 파괴를 이뤘던 스웨덴 조립 가구기업 이케아. 현재의 이케아는 앱만 다운로드하면 증강현실(AR)을 통해 매장에서만 경할 수 있던 가구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체험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면 가구조립과 설치 서비스를 조직처럼 활용하도록 태스크래빗 조립기사들과 연결해준다. 현재는 이케아와 한 가족인 태스크래빗(TaskRabbit)은 ‘긱 이코노미(Gig Economy)’ 대명사였다. 1920년대 미국에서 공연연주자들이 주최 측과 단기 계약해 기획했던 용어 ‘긱(Gig)’에서 유래된 이 말은 현재 비정규 프리랜서 고용형태를 뜻하게 됐다. 즉, 조직에 속하지 않고 단기 계약을 맺으며 일하는 ‘독립’ 계약자들로 차량공유서비스 기사들이 이에 속한다. 인적자산 기반의 공유 경제기업이자 ‘긱이코노미’를 선두하던 ‘태스크래빗’은 어떻게 이케아와 한식구가 된 것일까. ◆‘심부름’이 절실한 전문직 증가로 탄생한 ‘태스크래빗’ 지난 2008년 설립된 태스크래빗은 이케아와 한솥밥을 먹기 전까지 집안일·수리·사무·배달 등 각종 ‘심부름’이 필요한 사람과 대신할 사람을 홈페이지를 통해 연결해주는 ‘일자
[KJtimes=김승훈 기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에이미는 점심 식사 후 집주변을 한 시간째 산책하고 있다. 반려견 미미 때문이다. 미미는 대학교 칭구 리사의 결혼식 참석을 위해 뉴욕에 일주일간 방문 중인 케이티가 맡긴 반려동물. 케이티는 미미를 뉴욕까지 데려가기엔 부담스럽고 일주일 내내 이웃 친구들에게 맡기기에도 눈치가 보이던 중 로버를 통해 에이미와 연락이 닿았다. 에이미는 1년여 전 ‘로버’에 펫시터(Pet sitter)로 등록한 뒤 꾸준히 이 같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중이다. 미국에서 최근 익숙해진 풍경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반려동물계의 '에어비앤비'를 표방하는 공유형 비지지스 플랫폼 로버(Rover)와 도그베케이(Dogvacay) 서비스가 등장했다. 이들은 주변 이웃집에 맡기도록 알선한다. 펫시터 희망자가 사이트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인적사항을 적어 등록하면 펫시터 필요자가 해당 정보를 보고 주변 펫시터나 반려견을 산책시킬 수 있는 사람을 실시간으로 찾을 수 있다. ◆“믿을 만한 이웃에, 눈치 보지 말고 우리 미미 맡겨요” 어찌보면 로버나 도그베케이 같은 서비스가 등장한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었다. 10명중 7명꼴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KJtimes=김승훈 기자]미국 최대 온라인쇼핑몰 아마존이 안팎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입점업체들의 잇따른 철수에 더해 인도에서는 정부로부터 영업 제동이 걸렸기 때문이다. 대내외적으로 기업 이미지가 추락하지만 아마존 최고경영자까지 이미지 훼손에 힘을 보태고 말았다. 백조였던 아마존이 한없이 미운오리새끼로 전락하고 있다. 최근 CNBC에 따르면 스웨덴 가구 제조사 이케아는 최근 아마존 입점을 철수하겠다는 의사를 아마존측에 전했다. 이케아는 지난 2018년부터 파일럿 테스트 방식으로 아마존에 입점해왔다. 하지만 온라인 판매를 자체 유통망으로 돌리면서 아마존으로부터 분리를 선언했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도 세계 최대 스포츠 의류신발 브랜드 나이키도 아마존에서 자사 제품을 모두 철수한 바 있다. 나이키는 지난 2017년 아마존과 파일럿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협업을 시작, 운동화, 의류, 스포츠 액세서리류를 아마존을 통해 판매해왔다. 나이키에 이어 이케아까지 이탈행렬에 오르면서 여타 브랜드들의 철수가 예고되는 분위기다. ◆인도 온라인 유통시장 점령하는 아마존, 인도 정부에 제동 아마존은 현재 인도에서도 녹록치 않은 상황을 잇고 있다. 이코노믹타임스 등 현지 매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