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리포트

[탄소중립+] EU, 저탄소 전환…“그린뉴딜에 관심 가져야”

DB금융투자 연구원 “탄소 배출 비용 부담 고려한 투자 전략 필요”
에너지 위기에도 EU의 중장기적 탄소중립 정책의 구체화 진행 중
탄소 국경세 시행 전 기후클럽 결성, 적정 관세부과 수준 설정 노력
-글로벌 배출권 가격 키맞추기 가능성 염두, 기업의 탄소 효율성 관심

[KJtimes=정소영 기자] 한국의 탄소배출 비용 상승과 NDC 달성을 위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관련 투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강대승 DB금융투자 연구원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에너지 가격 상승 타개책 마련에도 미래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EU 의회는 탄소 국경세(CBAM) 법안 강화에 합의했다.

주요 내용은 적용 품목을 철강,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력 생산 등 기존의 5개에서 유기화학물질, 플라스틱, 수소 및 암모니아 등 3가지 품목을 추가하는 것과 탄소 국경세(CBAM) 대상 배출량을 직접배출뿐만 아니라 전기 등 간접배출도 포함하는 것이 있다.



또 유럽중앙은행(ECB)은 오는 10월부터 채권 재투자 시 매출 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피어그룹보다 적으며 감축 목표와 배출 정보를 공개하는 회사 비중을 높이는 틸팅 전략을 적용할 계획이다.

강 연구원은 “EU는 탄소 국경세 도입에 따른 자국 기업 피해 방지를 위해 기후클럽 결성과 비가입 국가에 대한 탄소 배출 비용 부과 수준 설정을 시도할 것”이라고 봤다.

G7정상회의에서 각국은 올해 국제기후클럽을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온실가스 관련 공동 정책 설립과 탄소 효율성 개선을 위한 기술 공유, 신흥국 지원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강 연구원은 “기후클럽 형성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클럽 회원국 간에 탄소국경세 면제가 예상되기 때문”이라며 “비회원국이 부담할 관세 수준은 EU의 탄소배출권 가격과 IMF의 국제탄소가격하한제가 참고 대상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IMF의 국제탄소가격하한제는 국가 소득을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에 차별적인 비용을 책정하는 방식으로 파리기후협약 준수를 위해 2030년까지 고·중·저 소득 국가에 t당 75·50·25달러의 배출 비용을 차등 부과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강 연구원은 “IMF의 분류기준 상 한국은 고소득 국가로 2030년 탄소 배출당 적정 하한제 기준은 75달러로 2022년 탄소배출권 가격은 t당 2만1000원 수준으로 75달러에 미치지 못한다”며 “탄소 국경세와 기후클럽 결성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지금의 위기 상황이 지나간 이후 배출권 가격의 키 맞추기가 진행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높아질 탄소 배출 비용 부담을 고려한 투자 전략을 택할 필요가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피어 대비 매출 단위당 탄소 배출량이 적은 기업에 투자 비중을 높게 가져가는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 탄소효율 그린뉴딜에 관심을 가질 것을 추천한다”고 부연했다.









[코로나 라이프] "소비자물가 계속 오른다" 도미노 현상 계속 "다시 소비위축?"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발생 기간 중 높아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75% 이상이 수입물가, 생산자물가 및 기대인플레이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 이후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크게 하락하고 이에 직접 영향을 받는 생산자물가도 하락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았지만, 2021년 3월 이후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 상승세가 빨라지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세의 대부분이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 결과다. 이에 대해보험연구원측은 소비자물가에 대한 거시변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소비자물가에 대한 기여도 측면에서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의 기여도 부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장기 추세는 기대 인플레이션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7월 전기요금 인상 "물가 상승도 도미노" 7월부터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물가 상승세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물가 상승률이 이미 5%대에 이르는 상황인데다, 전기요금의 인상은 기업의 생산과 가계 생활에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쳐 오름폭을 키울

[현장분석①] 러시아-우크라이나 다음 전쟁은 한반도(?)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개전 이후 4개월을 넘어서며 재래식 전력의 총력 소모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해외 일각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다음에 벌어질 전쟁은 한반도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난 6월 1일 터키가 시리아 북부 군사작전(침공)을 선언했다. 에티오피아의 나일강 수원 댐 건설계획에 반대하는 이집트의 군 전력 정비 동향 등으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군사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동북아의 군비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며 세계급 전쟁 발발 우려가 제기 중이다. 그러나 터키·이집트의 군사력이 시리아·에티오피아보다 월등하고 동북아에서는 갈등의 두 축인 ‘미국-중국’이 서로를 꺼리고 있어 아직까지는 본격적인 세계급 전쟁 상황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악의 경우 ‘한국 vs 중국-북한’ 충돌(?) 그러나 미국이 쿼드(미-일-인도-호주 4국 안보협의체)와 IPEF(인도-태평양 경제포럼) 결성을 주도한 것 외에도 중국에 대한 각종 제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자 중국은 내부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항공모함과 구축함 전력 등 맹렬하게 해군력을 증강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