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을 말한다

"시멘트 업계, 가격인상 적자경영 극복 꼼수" 2년간 60% 넘게 올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환경오염 방지시설 대신 폐기물 설비 투자만 확대 이익 극대화..."국민 안전·환경 뒷전"



[KJtimes=정소영 기자] 올해 초 시멘트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쌍용C&E, 성신양회 등 시멘트 업체들이 줄줄이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는 해마다 시멘트 공장의 폐기물 사용량이 늘면서 폐기물처리 매출액도 크게 증가하고 있고 시멘트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은 최근 크게 하락했다며 시멘트 가격 인상을 중단하고, 폐기물 사용량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대책을 먼저 제시할 것을 시멘트 업계에 촉구했다. 

8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명분은 전기료 인상이지만, 건설업을 볼모로 적자경영을 막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며 "최근 2년 사이 60% 이상의 시멘트 가격을 올리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납득할 만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쌍용C&E는 오는 7월부터 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 4800원에서 11만 9600원으로 인상하겠다는 방침이다. 성신양회도 지난 2일 시멘트 가격을 t당 10만 5000원에서 12만원으로 14.3% 인상하겠다고 레미콘사에 통보했다. 여기에 덩달아 한일·아세아·삼표시멘트 등도 시멘트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 가격은 지난 2021년 6월 t당 7만 5000원 수준이던 것이 12만원대로 2년 사이 60%나 급등했다. 

◆ 전기료 인상에 시멘트 가격 인상 불가피?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시멘트 업계는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기요금이 올해 초 ㎾h당 9.5%(13.1원) 오르면서 시멘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하며 “하지만 시멘트 제조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은 최근 크게 하락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국내 업체들이 주로 수입하는 호주 뉴캐슬탄(6000㎉ 기준) 가격은 지난해 상반기 t당 최고 400달러에 육박했으나, 올해 들어 150∼160달러선까지 내려왔다”며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원료·연료 사용량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폐기물처리 매출액도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실제 지난해 쌍용C&E의 폐기물처리 매출액은 1724억원으로 전년 대비 42.3% 넘게 증가했다”며 “시멘트 업계는 ‘순환자원 재활용뿐만 아니라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친환경 설비 투자, 향후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등이 시멘트 값 인상이 불가피한 요인’이라고 했지만 이 또한 명분 없는 행태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7개 시멘트 업체의 최근 2년간(2021년~22년) ‘ESG 경영’ 선언과 함께 발표한 주요 투자계획을 분석한 결과, 총투자금액 1조 4302억원의 74%인 1조 650억원이 폐기물 연·원료 시설 확충에 집중돼 있었다. 

◆ "시멘트 가격 인상? 영업적자 극복하려는 꼼수"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순환자원을 대체연료로 활용할 때 안정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설비 확충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친환경이라고 말하지만, 환경개선 설비 투자 없이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폐기물(순환자원) 설비 투자만 확대하면서 마치 친환경인양 포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시멘트 업계는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국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시멘트 제조 단계에서 탄소배출 경감을 위한 전방위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고 전하며 "하지만 질소산화물 제거 효율 90% 이상인 선택적촉매환원시설(SCR) 설치 등 대기오염물질 저감설비 없이 탄소 저감에 나서는 것은 되레 국민 안전과 환경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지금도 시멘트 공장의 폐기물 사용이 늘어나면서 시멘트 제품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쌍용C&E와 성신양회는 올해 1분기 각각 17억 3000만원, 49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이에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결국 시멘트 가격 인상은 영업적자를 극복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며 "시멘트 업계가 진정 환경과 국민 안전을 위한다면 시멘트 가격 인상 전 선택적촉매환원시설(SCR) 도입계획, 시멘트 소성로 배출기준 강화 등의 계획을 먼저 밝히는 것이 순서"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시멘트 생산에 사용된 폐기물의 종류, 폐기물 사용량, 폐기물의 성분함량 등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공개해야 한다"며 "시멘트 업계는 얄팍한 셈법으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나서는 것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 라이프] 6월부터 확진자 격리 '권고' 전환 "코로나19 이젠 일상된다"
[KJtimes=김지아 기자] 이제 코로나19가 일상으로 전환된다. 6월부터 확진자 격리도 7일 격리에서 5일 권고로 바뀐다. "조속한 일상 회복"이 현실이 되는 셈이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가 6월1일부터 5일 권고로 바뀐다. 동네의원과 약국 등에서도 마스크를 안써도 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오는 6월 1일을 기해 코로나19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한다"고 결정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3년 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며 일상회복을 선언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위기경보 하향에 맞춰 확진자에게 부과되던 7일간의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한다. 당초 격리 의무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낮아지는 일상회복 2단계 조정 때 해제할 예정이었지만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앞당겼다. ◆"그래도 아프면 쉬어야…"기관별 지침 마련 시행 격리 의무는 사라졌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몸이 아픈데도 억지로 출근하는 일은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