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시흥산업진흥원, ESG민관협력 업무협약 체결

[KJtimes=김봄내 기자]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과 시흥산업진흥원과(이하 진흥원) 18일 시흥시청에서 시흥시 소부장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ESG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김학용 대표이사, 시흥산업진흥원 이사장 임병택 시흥시장뿐만 아니라 경기도수출기업인협회·시흥시 소부장협회 강성호 수석부회장, 김창수 사무총장, 시흥시기업인협회 원영길 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여해 ESG 협력에 뜻을 함께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지원 대상인 시흥시 소부장 중소기업은 소재, 부품, 명칭을 축약해 지칭하며 시흥지역의 주력 산업으로 포진됐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및 글로벌 경기 침체 심화로 원자재 수급난이 지속되고 있어 원자재 구매비용 증가 및 신규 기술개발 활동 등에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은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 경영이념 하에 Together With POSCO (함께 거래하고 싶은 회사), Challenge With POSCO (함께 성장하고 싶은 회사)라는 기업시민 브랜드 파워를 확산시키고,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진흥원과 함께 ESG민관협력을 체결하게 됐다.

 

양 기관은 스틸인리스스틸 소재공동구매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소재 수급을 지원하고, 지역 중소기업의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를 적용한 신규 개발 제품에 대해서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이 기술 자문 활동뿐만 아니라 시흥지역의 STS 및 모터코아, 후판 관련 중소기업 VOC에 대해 당사와 연계해 솔루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과 진흥원이 지역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상호 협력을 통해 시흥시 소부장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특히 시흥시 관내 소부장 중소기업의 원부자재 수급에 대한 애로사항 개선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실질적인 중소기업 지원활동이뤄질 전망이며, 지역 특성에 맞는 ‘ESG 민관 협력협업 사례로 지역 산업계 동반성장 문화 확산이 기대된다.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김학용 대표이사는 시흥시 관내 지역 특화 산업 맞춤형 민관 협력 ESG협력모델을 최초로 조성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활동을 통해 신규 수요 개발 기회를 함께 발굴하고 동반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장+] 횡령 오명 ‘NH농협은행’, 경영혁신 고삐 죄는 이성희 농협중앙회장 발목 잡나
[KJtimes김지아 기자] # "NH농협은행은 말 그대로 은행 업무만 보는 계열사구요. 농협중앙회는 은행말고도 여러 사업들을 많이 합니다. 지역농협도 많구요. 그 중심을 잡아 큰 계획을 세우고 정책적인 업무를 하는 곳이 농협중앙회입니다. 지역농협 업무 후선지원업무도 하구요." "농협중앙회는 은행이 아니에요.농협중앙회 밑에 금융지주, 경제지주 두 개 부분으로 나눠지고금융지주 밑에 많은 금융회사 중 하나가 NH농협은행입니다. 농협중앙회는 여러 농협 계열사를 관리하는 최정점에 있는 그룹지주사라고 할 수 있겠네요." "신경분리전까진 모두 같은 회사였어요. 신경분리하면서 하나의 농협중앙회가 8대 법인으로 분리가 됩니다. 농협중앙회, NH농협은행, 농협생명, 농협양곡, 경제지주 등으로요. 옛날에는 다 농협중앙회 직원이었지만, 지금은 채용을 따로하는 법인이 된거지요.그러나 급여테이블도 똑같고, 노조도 같아요." "중앙회에서 분리되어 나온 게 NH농협은행입니다" "신경분리는 신용, 경제 업무를 말합니다.한 덩어리로 있던 게 나누어졌다고 보시면 되요~일반 사기업으로 보면 같은 oo그룹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지원 같은 경우 공채도 그렇고 대부분이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는 교


[현장분석④] 중국의 북한 개입 ‘남vs북 또는 남vs북-중 연합’ 전쟁 가능성 있나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현재로서는 북한 내 급변 시 중국의 북한 개입 후 ‘남-북’ 간 또는 ‘한-중’ 간 한반도 전쟁으로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중국의 북한 개입이 영토의 상실(조차, 할양 등)로 이어진 후 중국의 한반도 장악 야심에 따라 소규모 도발이 국지전으로, 국지전이 전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의 입장에서는 중국의 북한 개입과 영토 상실의 경우 중국의 북한 지배를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이를 부정하고 우리 권리를 강력히 주장할 것인지 여부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서는 ‘대한민국 헌법 제3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한다’에 위배가 되는 점과 중국의 북한 개입 내용들의 부당한 부분을 들어 명분을 세운 후 ‘한-중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중국 북해함대는 한국 해군 총배수량의 3배 넘는다” 중국은 지난 2016년 2월 군 체계를 기존 7개 전구에서 ▲북부전구(동북 삼성, 내몽골, 산둥성) ▲동부 전구(남경-영파-복수) ▲서부 전구(신장웨이우얼) ▲남부 전구(중국 남부-해남도) ▲중부전기(베이징 중심)의 5개 전구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