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정소영 기자] 한국 게임업계 현업자들은 경영진의 잦은 의사결정 번복과 단기적 수익 중심 비즈니스 모델(BM)이 산업 침체의 핵심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인력 확충과 창작자 중심 조직 문화 확립을 정부에 요구했다.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이하 화섬식품노조) IT위원회는 최근 게임회사 재직자 425명을 대상으로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기간은 지난 10월 27일부터 11월 4일까지 9일간이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산업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경영진 잦은 의사결정 번복 최소화와 창작자 의견 존중 조직 문화 확립’(58.0%)을 꼽았다. 이어 ‘단기적 BM 지양과 장기적 게임 수명 확보’(54.1%)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게임 비즈니스 모델 문제로는 67.1%가 ‘단기 수익 목표로 인한 게임 수명 단축’을 지적했으며 P2W(Pay to Win)식 BM(54.8%)과 확률형 아이템 과도 의존(43.1%)이 뒤를 이었다. ◆게임업계 현업자들 81.3%, 장시간 노동으로 육체적·정신적 피로 누적 및 건강 악화 노동 환경과 관련해서는 프로젝트/팀 규모 대비 인력 부족을 느낀 응답자가 45.9%에 달했다. 이에
[KJtimes=정소영 기자] 삼양식품이 994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전량 매각한 것을 두고 시민사회가 “4년 전 공시한 자기주식 취득 목적을 이행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매각이 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발의 직전 이루어진 만큼, 매각의 배경과 절차를 둘러싸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지난 26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삼양식품은 2022년 자기주식을 취득하며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경영성과보상’이라는 명확한 목적을 제시했으나, 이번 매각 과정에서 해당 목적이 실제로 이행됐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며 "김정수 대표는 공시로 밝힌 약속이 지켜졌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발의 4일 전, 1% 지분 전량 매각 삼양식품은 지난 20일, 발행주식의 1%에 해당하는 자기주식 7만 4887주를 KB증권을 통해 전량 매각했다. 총액은 약 994억 원으로, 매각가는 주당 132만 7000원 수준이다. 이 물량은 Viridian Asset Management, Jump Trading, Weiss Asset Management 등 총 3개의 외국계 투자사가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KJtimes=정소영 기자] 유유제약의 자회사인 유유헬스케어가 제조한 건강기능식품 ‘리버티엑스’가 비소 함량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돼 회수·판매중지 조치가 내려졌다. 유유헬스케어는 유유제약이 2006년 설립한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으로, 유유제약의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전담하고 있다. 최근에는 강원도 횡성에 제2공장을 착공하며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선 바 있다. 27일식품의약품안전처는회수식품 알림서비스를 통해 “㈜유유헬스케어가 제조한 ‘리버티엑스’ 제품에서 비소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며 “해당 제품에 대해 즉시 판매 중단 및 회수 조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소비자는 식약처 홈페이지 또는 식품안전나라 사이트에서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KJtimes=정소영 기자]기후솔루션이 국민연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평가 강화에도 불구하고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키움증권을 거래증권사로 유지한 결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책임투자 원칙 훼손을 비판했다. 최근 기후솔루션은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키움증권이 ESG 평가 항목 강화 후에도 국민연금 거래사로 선정된 것은 평가 기준과 원칙을 뒤흔드는 것”이라며 국민연금의 선택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키움증권, 삼척블루파워 등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 주관 이력” 국민연금은 2023년 하반기부터 ESG 배점을 5점에서 10점으로 상향하며 ‘책임투자 및 ESG 경영’을 평가 항목으로 추가했으나, 실제 선정 결과가 ESG 강화 의도와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기후솔루션은 특히 키움증권이 삼척블루파워 등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이력이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이러한 행보는 금융기관의 기후 리스크 관리 태도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국민연금이 ESG 경영을 강화하겠다던 선언이 실제 거래파트너 선정에서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책임투자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 개혁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키움
[KJtimes=정소영 기자] 한국의 공적 수출금융이 화석연료 중심에서 청정에너지로 전환될 경우, 2035년 기준 국내 일자리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솔루션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GESI)는 지난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 공적 수출금융의 전환: 화석연료에서 청정에너지로의 글로벌 전환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청정에너지 투자 전환 시 경제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수출입은행·한국무역보험공사·한국산업은행 등 주요 공적 금융기관의 2020∼2024년 에너지 부문 지원 총액은 약 61조 3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74.5%가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 부문에 몰려 있다. 지원 대상 중에서는 배터리 제조,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재생에너지 관련 분야의 비중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1.5℃ 시나리오(NZE)를 적용해 여러 시나리오를 모의 분석했다. 그 결과, 공적 금융기관이 청정에너지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면 2035년 국내 일자리가 약 11만 개로 증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현재 수준의 금융 지원(BAU 시나리오, 약 5만 1
[KJtimes=정소영 기자] 환경운동연합이 1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의 고리2호기 수명연장 승인 결정에 대해 “절차적 위법과 무능이 뒤엉킨 폭거”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단체는 이번 결정을 ‘무효’라고 규정하고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이날 회의에서 고리2호기 수명연장을 최종 승인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를 두고 “시민의 생명과 지역사회의 안전을 불과 5명의 찬성표로 밀어붙였다”며 “위험천만한 졸속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안전성 결함·자료 미비 지속 제기됐지만 원안위는 사업자 논리만 반복”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과정에서는 ▲안전성 결함 ▲자료 미비 ▲중대사고 대비 부족 ▲최신 기술기준 미적용 ▲고시 기준 미비 등 각종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됐다. 단체는 “이 같은 근본적 하자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원안위는 ‘승인이 늦으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사업자 논리를 언급하며 회의를 밀어붙였다”며 “380만 부울경 시민의 안전을 귀찮은 요소로 취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회의장에서는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심의 중단’을 요구하며 항의했지만, 최원호 원안위원장은 “성숙한 시민의식”을 언급하며 퇴장을 명령한 것으
[KJtimes=정소영 기자] 한국이 세계에서 해운 좌초자산(stranded asset, 운항 불가능한 화석연료 운반선 등) 리스크에 가장 깊이 노출된 국가로 드러났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이하UCL) 에너지연구소의 최신 분석 결과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을 비롯한 공적금융기관들이 LNG 운반선 등 화석연료 선박에 총 58조 8000억원을 투입하며 국제적 탈탄소 금융 기조와 역행하고 있어 “좌초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국가와 민간 금융 모두에 심각한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의 화석연료 운반선 투자 비중은 71%로 전 세계 평균(24%)보다 2.9배 높았으며, 해운 투자 중 절반 가까이가 LNG 운반선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기후솔루션은 27일 밝혔다. ◆수은 "화석연료 운반선이 포트폴리오 지배하는 금융기관" 특히 수은은 전체 해운 포트폴리오의 절반 이상을 화석연료 운반선으로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제적으로는 이미 41개국이 청정에너지 전환 파트너십(Clean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에 가입해 화석연료 공적금융을 제한하고 있다. 덴마크 수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