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월트디즈니컴퍼니에 15년 만에 변화의 바람이 불 전망이다. 기존과 다른 성향을 가진 새로운 수장을 사령탑으로 맞으면서 전반적인 경영방식도 바뀔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최근 외신에 따르면 월트디즈니컴퍼니는 밥 아이거 최고경영자(CEO)가 갑작스레 사퇴했다. 다만 이사회 의장직은 내년 말까지 유지한다. 아이거는 지난 15년간 이 회사를 이끌어온 주인공으로 유대계 집안에서 태어났다. 지방 방송국 기상 예보관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가 ABC에 합류해 1996년 ABC가 디즈니에 인수된 뒤 2005년 10월 디즈니 최고위직에 올랐다. ◆적극적 M&A로 디즈니 성장을 이끈 주역 아이거 아이거 전 CEO는 디즈니 성장을 이끈 주역으로 꼽혀왔다. 2006년 토이스토리 등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픽사를 74억 달러에 사들였고 2009년에는 마블, 2012년에는 스타워즈로 유명한 루카스필름 등을 품에 안았다. 지난해에는 713억 달러 규모의 21세기폭스 엔터테인먼트 부문을 인수했다. 특히 지난해는 아이거가 잇단 잭팟을 터뜨린 한해로 꼽힌다. ‘라이온킹’과 ‘알라딘’, ‘토이 스토리4’ 등 작품이 흥행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의 영화부문 실적을
[Kjtimes=김승훈 기자]지난 2018년 11월. 미국 소매 유통기업이자 최초 백화점 ‘시어스’가 126년 역사 속 뒤안길로 사라질 수 있음을 처음 공식화했다. 한때 미국 최대 유통업체로 역사와 명성을 자랑하던 거대 유통공룡이 갑작스레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이다. 시어스 파산신청은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준 사건으로 기록됐고 온라인쇼핑몰 등장에 더해 변화된 소비패턴을 제때 읽지 못한 전통 유통기업의 결과로 남았다. ◆우편에서 ‘쇼핑 카탈로그’로 진화한 판매전략, 美 상징으로 우뚝 시어스는 1886년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리처드 시어스가 우편으로 손목시계를 판매하면서 시작됐다. 1892년부터는 시계제조업체를 운영하던 앨바 로벅과 손잡고 본격적인 배송사업에 나섰고 상품 목록을 우편으로 보내 주문과 배송으로 물건을 판매하던 시어스의 판매 전략은 카탈로그 상품 판매 방식으로 진화하며 미국 상징이 된다. 1906년에는 주식에 상장했고 1925년에는 시카고에 첫 점포를 열었다. 이후 의류, 장난감부터 자동차, 주택 건축 세트, 묘비까지 카탈로그를 통해 미국 전역으로 판매하며 1945년 매출 10억 달러를 돌파, 미국 중저가 백화점 체인으로 거듭났다. 2005년 초에는
[KJtimes=김승훈 기자]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성장을 거듭해온 산업으로는 화장품 기업들도 있다. 하지만 온라인쇼핑 시장 발전에 국내 오프라인 뷰티숍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다국적 화장품 편집숍 세포라는 아마존 공습에도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테크-기반 옴니채널 마케팅’을 통해서다. 지난 10년간 자체 브랜드를 중심으로 펼쳐온 세포라만의 플랫폼 전략이 ‘코덕(화장품 코스메틱(Cosmetic)과 덕후 합성어)’들을 유인하는 핵심 배경으로 꼽힌다. 프랑스 명품그룹 LVMH(루이비통모에헤네시)그룹이 소유한 화장품 유통 편집숍 세포라(Sephora)는 1970년 프랑스에 설립된 화장품 편집숍이다. 1997년 LVMH에 인수돼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중국 등 전세계 34개국에서 260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세포라는 1998년에 진출한 미국시장에서의 매출이 현재 LVMH그룹이 미국에서 벌어들이는 매출 45%에 이를 정도로 미국인들의 화장품 성지로 위상을 높였다. ◆‘테크-기반 옴니채널 마케팅’으로 온오프 쌍방향 소통 ‘好好’ 세포라가 미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배경으로는 제품과 서비스, 콘텐츠, 엔터테인먼트의 요소
[KJtimes=김승훈 기자]미국 세계 최대 소매유통 체인 월마트는 유통 산업 전통 강자다. 온라인 쇼핑시대가 열리면서 오프라인 전통 유통기업들이 쇠락하는 와중에도 월마트는 매출액 기준 유통 산업에서 글로벌 1위를 내려놓지 않고 있다. 현재 미국 유통 시장은 ‘온라인=아마존’, ‘오프라인=월마트’란 공식이 적용되는 모습이다. 한때 아마존 공세에 밀려 시장의 우려를 모았던 월마트의 성공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최근 월마트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1417억 달러, 주당순이익은 1.38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예상치 1425억 달러 1.43달러를 하회한 수치다. 미국 월마트 매장에서 연말 매출이 예상보다 하락한 영향이 컸다. 하지만 월마트 온라인 식료품 사업은 승승장구다. 월마트 미국 내 온라인 매출은 2018년 4분기 43% 올라선데 이어 지난해애도 35% 증가했다. 특히 온라인 식료품 사업부문이 성장세란 회사측 설명이다. ◆35년만에 고꾸라진 연매출, 온라인 플랫폼 강화로 재건 1962년 문을 연 월마트는 2001년부터 매출액 기준 세계 1위 기업에 이름을 올려왔다. 하지만 포춘 500대 기업 1위를 수년간 차지해온 월마트 역시 온라인 공습으로
[KJtimes=김승훈 기자]20년 잔치는 끝났다. 국내 오프라인 유통업계를 두고 나오는 말이다. 롯데와 신세계 등 국내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소비자 구매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결과 매장 축소 등 구조조정에 나선 상황이다. 오프라인 매장을 기반으로 성장했던 국내 백화점 및 대형마트는 최근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대형마트는 지난해 2분기 일제히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마트는 1993년 창사 이후 첫 분기 적자를 기록했고 롯데마트도 국내 사업이 1998년 창사 이후 최악의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이마트는 4분기에 100억원 적자를 냈고 롯데쇼핑은 창사 이래 첫 구조조정에 돌입, 점포 약 30%에 달하는 200여개를 정리키로 했다. 이 같은 위기는 비단 국내 뿐이 아니다. 미국의 경우 북미 최대 유통업체였던 시어스는 설립 126년만인 2018년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장난감 유통 왕국으로 불리던 미국 토이저러스 역시 지난 2017년에 파산보호를 신청, 2018년 미국 내 700여개 토이저러스 매장을 폐쇄했다. ◆유통생태계 변화가 일으킨 오프라인 유통공룡들의 몰락 오프라인 유통기업
[KJtimes=김승훈 기자]새로운 이동수단으로 각광받는 전동킥보드가 미비한 법체계로 발목이 잡혀 있다. 정부의 4차 산업 활성화에 더해 국내에도 서비스 이용 발판이 확대되고 있지만 명확하지 않은 법적 성격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산하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협의회(SPMA)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법제화와 관련한 도로교통법 개정을 촉구했다. 퍼스널 모빌리티란 전기를 이용해 움직이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한 종류로 전동킥보드 등이 포함된다. SPMA는 국내 11개 전동킥보드 공유 스타트업들이 모인 단체로, ‘킥고잉’ 운영사인 올룰로, ‘씽씽’ 피유엠피, ‘빔’ 빔모빌리티, 더스윙, 매스아시아 등이 활동하고 있다. ◆‘킥보드=오토바이’ 공식 적용하는 모호한 韓 현행법 ‘걸림돌’ 국내 퍼스널 모빌리티 기업들이 한 목소리로 법 개정을 요청한데는 개인형 이동수단(PM)이 현행법상 도로 위에서만 이용할 수 있어서다. 현재 킥보드는 도로교통법상 차도를 제외한 인도나 자전거도로에선 다닐 수 없다. 현행법에서 킥보드는 원동기장치자전거, 즉 배기량 125CC 이하…
[KJtimes=김승훈 기자]애플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다. 애플 최대 시장인 중국이 코로나19 핵심 지역이기 때문이다. 중국내 판매 감소에 더해 생산까지 차질을 빚게 되면서 예상보다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최근 애플은 투자자들을 위한 실적전망(가이던스) 발표를 통해 1분기(1~3월, 자체 2분기) 매출이 전망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애플은 1분기 예상 매출을 630억~670억 달러로 전망했다. 이는 앞선 분기보다 약 300억 달러 하락한 수치지만 코로나 19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매출 전망치를 큰 폭으로 넓게 잡은 것이었다. 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애플이 예상한 것보다 여파가 더 커지면서 당초 낮춘 전망치마저 달성키 어렵게 됐다. ◆중국 생산 90% 의존한 애플 아이폰, 1분기 매출 전망치 하향 조정 애플은 실적 전망치를 낮춘 배경으로 ‘생산 차질’과 ‘판매 둔화’를 꼽았다. 애플은 세계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생산 90%를 중국 내 조립공장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이번 코로나19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영을 못하는 상태다. 특히 아이폰의 중국 내 조립업체 중 최대 규모인 폭스콘 직원들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복귀를 주저하는…
[KJtimes=김승훈 기자]“우리가 페이스북에 적응할 것이 아니라 페이스북이 우리에게 적응해야 한다.” 최근 유럽연합(EU) 집행위원 고위 인사들이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를 향해 쏟아낸 비판이다. EU는 페이스북뿐 아니라 구글, 아마존과 같은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유럽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가지고 사업을 하는데 대한 IT기업 규제 초안을 19일(현지시간) 발표한다. EU의 IT 기업들 규제 강화 요구는 가짜뉴스, 허위정보 등 현상이 벌어지면서 대두됐다. EU는 2년여 전 이 같은 정보들이 선거에도 개입될 것을 걱정하면서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이를 차단을 촉구했다. 당시 EU는 2019년 5월 유럽의회 선거에 ‘불순 세력’이 가짜뉴스를 퍼뜨려 선거에 개입하려 할 것을 우려하며 ‘가짜뉴스와의 전쟁’ 액션플랜도 가동했지만 결국 러시아 정보원들이 여론을 조작한 정황을 포착하기에 이른다. ◆EU 유럽의회 선거에도 미국 대선에도 소셜미디어 활용도 ‘쏠쏠’ 비슷한 일은 4년여 전 실시된 미국 대선 당시에도 있었다. 실제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지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도록 페이
[KJtimes=김승훈 기자]소프트뱅크의 비전펀드에 변화 바람이 불고 있다. 정확하게는 그간 비전펀드 투자행보와 다른 투자 전략이 펼쳐지는 양상이다. 잇단 벤처기업 투자 실패에 따른 내분 결과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최근 영국 경제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라지브 미스라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운영 총괄 최고경영자(CEO)는 헤지펀드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미스라 CEO의 헤지펀드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인 무바달라개발공사, 카자흐스탄이 참여, 규모가 수십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FT는 내부 소식통 말을 인용해 전했다. 이 펀드는 아부다비에 기반을 두고 미스라 채김자와 도이체방크에서 함께 일했던 헤지펀드 매니저 악샤이 나헤타가 운영할 것으로 전해진다. ◆위워크 투자 실패 회의론, 미스라식 ‘헤지펀드’ 투자 견인했나 하지만 시장에서는 헤지펀드 투자 전략이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투자 철학과 다르다는 점에서 내분이 일어난 것 아니냔 시선이다. 그간 손 회장은 중장기적 관점으로 초기 스타트업기업에 투자한 후 성장을 지지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반면 이 헤지펀드 설립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 미스라 CEO는 벤처투자자보단 금융전문가로 통
[KJtimes=김승훈 기자]중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클라우드 시장은 초기 단계지만 성장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도 국가 주도 정책으로 이 시장에 지원 사격하고 있어 ‘차이나 클라우드’ 미래를 장미빛으로 만들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의 ‘이제 중국도 클라우드다’ 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클라우드 시장은 기업 기준 2015년 102억 위안에서 2018년 437억 위안으로 성장했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이하 CAICT)은 연평균 41%에 이르는 고성장세가 이어지면서 2022년 1731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급성장한 데는 인터넷 보급률 확산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2010년부터 클라우드 산업육성에 적극적이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중점 발전 산업으로 선정한 뒤 베이징, 선전 등 5개 도시에서 혁신 발전에 관한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2012년에는 12-5 발전계획을 발표하며 정책 추진의 예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시했다. 2015년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을 통한 신업태 육성 의견을 발표했고 2016년에는 2018년까지 주요 국가 산업에 클라우드를 도입할 것을 선언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미국 최대 승차공유기업 우버가 7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버는 연내 적자 수렁에서 벗어나 흑자를 전환할 것이란 장미빛 미래를 그리는 분위기다. 우버는 최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40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기대치였던 40억600만 달러에 부합한 수치다. 하지만 수익성은 적자의 늪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우버는 4분기 음식배달사업 우버이츠 부진과 자율주행차 기술 연구개발 부문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순손실이 늘어난 것이다. 우버는 같은 기간 순손실이 전년 동기 순손실인 8억8700만 달러보다 24% 증가한 11억 달러를 나타냈다. 이로써 우버는 지난 한 해 동안 순손실이 총 85억 달러에 달했다. ◆지난해 손손실 총 85억인데…우버 “연내 흑자 전환한다” 우버의 실망스런 4분기 성적표에도 내부 분위기는 밝은 모습이다. 연내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이란 공격적인 목표치를 내놨기 때문이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4분기 실적발표에서 “출혈로 성장하는 시대는 끝났다”며 “단순한 성장이 아닌 수익을 내는 성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콘텐츠 기업 월트디즈니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영향력 확대가 눈부시다. 지난해 콘텐츠 비용 증가에 수익성이 다소 실망스러웠다. 하지만 ‘디즈니+’의 가입자수로 이 시장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음을 스스로 입증했다. 올해는 ‘디즈니+’가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예정하고 있어 월트디즈니 미래가치를 높이는 분이기다. 최근 월트디즈니는 지난해 4분기(자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한 208억5800만 달러, 주당순이익은 1.53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월가 예상치인 207억6000만 달러를, 주당순이익은 기대치였던 주당 1.46달러를 웃돌았다. 다만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월트디즈니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28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7% 줄었다. 이로 인한 순이익은 111억 달러를 기록했다. ◆비용증가 우려 ‘NO’…‘디즈니+’ 가입자수 증가가 기대 ‘솔솔’ 월트디즈니의 두자릿대 매출 증가폭은 ‘21세기 폭스’ 인수 영향이 컸다. 하지만 영업이익 감소도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게 시장 분석이다. 디즈니가 ‘디즈니+’를 출시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비용 지출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 디즈니 지난해…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플랫폼 유튜브 모기업 알파벳이 시장 기대치보다 낮은 매출 성장률을 보였음에도 반응이 긍정적이다. 신사업에 대한 높은 성장 가능성을 내비췄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해 12월 알파벳 지휘봉을 잡은 순다 피차이 최고경영자(CEO)는 변화된 실적 발표 방식으로 유튜브와 클라우드의 빠른 성장세를 공개했다는 평가다. 최근 알파벳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460억8000만달러(약 54조9000억원), 주당순이익은 15.35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알파벳의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지만 월가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인 469억4000만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반면 주당순이익은 시장 컨센서스였던 12.53달러보다 23% 상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한 92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사령탑에 오른 피차이 CEO, 유튜브 광고 매출 첫 공개 이번 실적 발표에서 눈에 띄는 것은 알파벳이 4분기부터 처음으로 유튜브 광고 매출을 공개한 점이다. 알파벳은 그간 구글 광고와 기타로 나눠 실적을 발표해왔다. 그러나 이번 분기부터 유튜브 검색과 유튜브, 클라우드 등으로 세분
[KJtimes=김승훈 기자]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 넷플릭스가 지난해 4분기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표를 내놨다. 하지만 올해가 안개빛이다. 자국 내 등장한 신규 진출사들과 경쟁이 심화되면서 성장 둔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지난 4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30.6% 상승한 54조7000억 달러,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약 4배 증가한 5억8700만달러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주당순이익은 상승세는 더 눈부시다. 넷플릭스의 주당순이익은 무려 333.3% 상승한 1.3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매출액 54조5000억 달러와 주당순이익 0.52달러를 크게 넘어서는 수치다. 법인세 환급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되면서 컨센서스를 크게 넘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유료 가입자수도 대폭 늘었다. 넷플릭스의 지난해 4분기 유료가입자 증가폭은 총 876만명으로 위쳐와 6언더그라운드와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들의 흥행 효과에 힘입어 예상치 763명을 넘었다. ◆저렴한 가격에 밀려 잃어가는 美 가입자수 하지만, 넷플릭스는 이 같은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국 내에서 유료가입자수가 감소하고 있어서다. 실제 넷플릭스가 발표한 4
[KJtimes=김승훈 기자]글로벌 벤처투자업계 큰손 소프트뱅크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의 사냥감으로 지목되고 있어서다. 잇단 투자 실패로 지난해 3분기(자체 2분기) 초유의 거액 적자를 기록한데 이어 핵심 멤버들의 이탈설까지. 소프트뱅크 내홍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엣리엇의 경영참여로 소프트뱅크 신화창조 역사가 위기에 직면한 모습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계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소프트뱅크의 25억 달러(2조9600억원) 규모 지분을 사들였다. 이는 소프트뱅크 시가총액의 약 3%에 해당하는 규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엘리엇이 지난해 소프트뱅크의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 투자 실패를 계기로 소프트뱅크 지분을 적극적으로 늘렸다”고 전했다. ◆엘리엇 타깃된 소프트뱅크, 흔들리는 위상…“어찌하리오” 문제는 엘리엇이 지분을 확보한 기업경영에 적극 개입하는 펀드라는 점이다. 엘리엇은 삼성물산 합병 및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등에 공격적으로 관여했었다. 투자 대상 기업의 주가 상승을 위해 경영 개선을 공격적으로 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소프트뱅크는 상황이 녹록치 않다. 최근 투자를 단행한 스타트업들의 투자 실패 때문